개인사업자에서 법인사업자로 전환 시 퇴직금 문제와 대처 방법

2025. 1. 23. 07:00아티클

728x90
반응형

 

 

 

 

개인사업자를 법인사업자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직원들의 고용이 승계되는 경우, 퇴직금 처리는 중요한 이슈 중 하나입니다.

특히, 고용 승계 후 퇴직금을 정산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로자가 퇴사할 경우, 퇴직금 미지급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퇴직금 처리 방법과 문제 발생 시 대처 방안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고용 승계 시 퇴직금 처리 방법

 

1) 퇴직금을 정산하지 않고 고용 승계

고용 승계 시 기존 근속기간이 그대로 인정됩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퇴직하는 시점에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에서 근속한 기간을 합산하여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 근속기간 합산: 개인사업자 근속기간 + 법인사업자 근속기간
  • 퇴직금 지급 기준: 최종 퇴사 시점의 평균임금과 전체 근속기간을 기준으로 계산

2) 퇴직금을 정산하고 새 근로 계약 시작

고용 승계 과정에서 개인사업자는 기존 근속기간에 대해 퇴직금을 정산하고, 법인에서는 새로운 근로계약을 시작하는 방식입니다.

  • 개인사업자가 퇴직금을 정산하고 법인에서는 새로운 근속기간이 시작됨
  • 법인의 퇴직금 계산에는 개인사업자 근속기간이 포함되지 않음

 

2. 퇴직금 미지급 시 발생하는 문제

 

 

 

퇴직금을 정산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로자가 퇴사했음에도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이는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법적 문제

  • 근로기준법 제36조 위반: 퇴직금을 퇴직 후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않으면 처벌 대상이 됩니다.
  • 형사 처벌: 최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 지연 이자 부담: 미지급 퇴직금에 대해 연 20%의 지연이자를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

2) 신뢰도 하락

  • 미지급 퇴직금 문제는 사업주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다른 근로자들의 사기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퇴직금 미지급 문제 해결 방법

 

1) 근로자의 대응 방안

(1) 사용자와 협의

퇴직금을 받지 못한 경우, 먼저 사업주와 협의하여 지급을 요청하세요.

  • 고용 승계 시 근속기간 승계 여부를 명확히 확인

(2) 노동청에 신고

관할 고용노동청에 진정이나 신고를 접수하면, 노동청이 조사 후 사업주에게 퇴직금 지급 명령을 내립니다.

(3) 법적 조치

  • 민사소송을 통해 미지급 퇴직금을 청구
  • 지방노동위원회를 통한 노동쟁의 조정 신청 가능

2) 사업주의 책임

퇴직금을 미지급하면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형사 처벌 및 벌금
  • 지연 이자 부담
  • 근로자와의 분쟁으로 인한 평판 악화

4. 미리 방지하기 위한 팁

  1. 근로계약서 작성: 고용 승계 시 근속기간 인정 여부를 명확히 기재하세요.
  2. 퇴직연금 도입: 퇴직금을 미리 적립하여 자금 부담을 줄이세요.
  3. 전문가 상담: 세무사나 노무사와 상담해 법적 문제를 예방하세요.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사업자로 전환할 때 퇴직금 처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고용 승계와 근속기간 승계 여부를 명확히 정리하고, 퇴직금을 적시에 지급하여 법적 분쟁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미리 준비하고 전문가와 상담하여 원활한 전환 과정을 진행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