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간 정리 갑을병정부터 임계까지, 나를 설명하는 열 가지 기둥

2025. 6. 18. 08:36흥미/사주

728x90
반응형

십간이란? 사주명리에서 보는 10가지 에너지의 상징

사주명리학을 공부하다 보면 꼭 마주하게 되는 개념이 바로 십간입니다.

처음에는 생소하게 느껴지지만, 알고 나면 사람의 성향과 삶의 방향을 이해하는 데 굉장히 중요한 열쇠가 돼요.

십간의 기본 구조

십간은 음양오행을 바탕으로 한 10가지 천간을 말합니다. 이름은 다음과 같아요.

  • 갑(甲) - 양의 목
  • 을(乙) - 음의 목
  • 병(丙) - 양의 화
  • 정(丁) - 음의 화
  • 무(戊) - 양의 토
  • 기(己) - 음의 토
  • 경(庚) - 양의 금
  • 신(辛) - 음의 금
  • 임(壬) - 양의 수
  • 계(癸) - 음의 수

십간의 성향과 특징

십간은 단순히 천간 이름이 아니라 각각 고유한 성격과 에너지를 지닌 코드입니다. 예를 들어:

  • 갑목: 곧은 나무처럼 정직하고 추진력 있음
  • 을목: 덩굴처럼 유연하고 섬세함
  • 병화: 태양 같은 밝음과 리더십
  • 정화: 촛불처럼 따뜻하고 감성적
  • 무토: 산처럼 묵직하고 책임감 있음
  • 기토: 논밭 같은 현실적이고 실용적 성향
  • 경금: 금속처럼 날카롭고 단단한 성격
  • 신금: 보석처럼 정제되고 깔끔함
  • 임수: 바다처럼 포용력과 탐구심 많음
  • 계수: 이슬처럼 조용하지만 분석력 뛰어남

일간은 나 자신

사주팔자에서 '일간'은 태어난 날의 천간을 말하며, 이는 곧 '나 자신'을 상징해요.

내 사주의 뿌리와 성격을 알려주는 핵심이죠.

그래서 자신의 십간을 안다는 건 곧 나를 이해하는 시작이라고 할 수 있어요.

십간은 우주의 기운을 10가지 상징으로 나눈 체계입니다.
사주에서 십간은 인간의 성향과 삶의 패턴을 해석하는 가장 기본적인 언어입니다.
갑을병정... 단순한 글자가 아닌, 우리 삶의 방향성과 내면 에너지를 표현하는 상징입니다.

십간을 알면 사람과의 관계, 일의 방식, 성격의 특성을 읽을 수 있어요.
자기 일간을 이해하면 더 나은 인간관계를 위한 선택이 가능해집니다.

 

 

십간은 복잡하지 않아요.

내가 어떤 사람인지, 다른 사람은 어떤 성향을 지녔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각각의 십간을 더 깊이 있게 살펴볼 예정이에요 :)

728x90
반응형